한국 기독교사 사론 (4) 썸네일형 리스트형 H.G. 아펜젤러, 그는 누구인가! H.G. 아펜젤러, 그는 누구인가!“자, 활짝 열린 문으로 들어가 그 나라를 주 예수 그리스도에게 인도하자”노 종 해(CM리서치) 올해는(2025년) 감리교의 아펜젤러와 장로교의 언더우드 선교사가 한국 인천 항에 도착(1885.4.5.)한 140주년 되는 해이다. 한국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으며, 아펜젤러의 인간과 선교, 헌신, 희생의 삶을 밝히려 한다.H.G. 아펜젤러 선교사, 그는 누구인가!서구열강들의 침략적인 흉악한 발걸음이 우리 민족과 나라를 뒤흔들고 있을 때 하나님께서는 아름다운 복음의 발걸음을 재촉하셨다. 한국민족을 구원할 복음의 때를 기다려 오셨던 하나님은 마침내 그의 일꾼을 택하셔서 한국 땅에 파송하신 것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부름에 응답하여 한국 첫 개신교 선교사로서 복음의 발걸음을 .. 초기 한국 감리교회의 성탄절은?(1885-1887, 1897년) 초기 한국 감리교회의 성탄절은?(1885-1887, 1897년)-아펜젤러의 첫 성탄절, 첫 한국어 설교와 첫 교회 건축 봉헌- 사료제공 및 작성: 노종해(CM리서치) 초기 감리교 선교사 가정과 교회의 성탄절은 어떤 모습일까? 1885년 엘라(아펜젤러의 부인)의 성탄절과 1886년, 1887년 성탄절에는 아펜젤러 목사의 첫 한국어 설교가 있었고, 1897년 성탄절에는 개신교 최초 교회건물이 봉헌되는 날이기도 했다. 또한 정동교인들이 힘을 모아 연보하여 이웃과 함께 그리스도의 축복을 나누는 모습도 있었다. 2023년 성탄절을 맞아 다시 그 의미를 생각하며 우리의 신앙의 선조들이 아기 예수의 탄생을 맞아 함께한 기쁨들을 사료 소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1885년 성탄절: 엘라(Ella J. Dod.. 존 로스, 첫 한글 성서 번역:"하느님/하나님"으로 -선교정책: “한국문화를 토대로, 한국인에 의한 전도”- 노 종 해(CM리서치) 존 로스(John Ross, 羅約翰, 1842~1915)는 스코틀랜드 연합 장로교회에서 중국 만주 선교사로 파송(1872. 2. 27.) 받았으며, 목사안수 받고(1872. 3. 20.) 스테워드(M.A. Steward) 양과 결혼하고(3.25) 선교지로 출발하여 만주 영구에 도착하였다. 아내 스테워드는 1873년 첫 아들 "드럼몬드("Drummond)를 해산(1873. 2.)하고 긴 여행과 혹한에 별세(3. 31.)하였다. 존 로스는 넷째 여동생 캐더린(Catherine)을 만주로 불러 아들을 돌보게 하고 중국어 습득과 순회 선교에 몰두하였다. 여동생은 존 매킨타이어(John MacIntyre, 1838-1904) 선교사와.. “이웃사랑”(愛隣)의 목회, 사회사업의 선구자 “이웃사랑”(愛隣)의 목회, 사회사업의 선구자 -정지강 목사의 생애와 사회복음 활동을 중심으로- 노 종 해(CM리서치) 신앙의 선조-토마스 목사 순교자의 증인 자손 정지강(鄭志强) 목사는 1900년6월21일 평양에서 정기용(鄭基用)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정목사 가정은 한국 초대교회의 교인으로 순교자의 피로 믿음을 갖게 된 가정이다. 조부 정의조(鄭義祖)는 진사(進士)급에 있던 관리로 한국선교 초기에 기독교로 개종한 분이시다. 특히 평양 대동강 변에서 성경을 반포하다 순교한 토마스(Rev, J.T Thomas) 선교사의 순교현장을 친구 최치량(崔致良)과 목격하고 충격을 받고, 던져진 성경책을 숨어서 읽으며 예수에 대해 흥미를 갖고 있던 중, 평양에 기독교 선교사가 들어 왔을 때 최초로 설립된 장로교회인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