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슬람 알기

말련, "핫도그"란 명칭은 하람, 개명해야?, 그래도!

*말레이시아 거리의 핫도그 포장마차!

말련, "핫도그"란 명칭은 하람, 개명해야?,  그래도!
 
노종해(CM리서치)

말레이시아에서 "핫도그"(Hot Dog)를 판매하는 많은 매장이 위기에 직면했다. "핫도그"란 이름이 하람(Haram)이므로, 바꿔야 할랄(Halal) 식품이란다. 그러므로 "핫도그"는 명칭 때문에 할랄 인증이 거부당할 위험이 있다.

말레이시아 할랄 식품 지침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즉,

"할랄 식품과 할랄 인공 향료는 햄, 바쿠테, 베이컨, 맥주, 럼 등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비할랄 제품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동의어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halal food and halal artificial flavour shall not be named or synonymously named after non-halal products such as ham, bak kut teh, bacon, beer, rum and others that might create confusion)

*프랜차이즈 핫도그!-말레이시아 전역 어디서나!

말레이시아의 인기 미국 프레즐 체인점인 앤티엔스(Auntie Anne's)는 "프레즐 핫도그"(Pretzel Hot Dog)의 이름을 "프레즐 소시지"(Pretzel Sausage)로 바꾸지 않는 한 할랄 인증을 받을 수 없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 할랄부의 이사 수하이미(Director Sirajuddin Suhaimee)는 명칭을 바꾸어 "프레첼 소시지"(Pretzel Sausage)라고 칭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라고 권고했다.

*핫도그와 루트비어!- 말레이시아 A&W레스토랑에서!
*루트 비어에 바닐라 아이스크림을!-비스트로, 펍 레스토랑 등!

또한 무알콜 "루트 비어"(Root Beer)라는 명칭 등도 이슬람에서 알코올을 금지하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게 되었다. "루트 비어"에는 알코올이 전혀 들어 있지 않으므로 무슬림들도 맥주처럼 바에서 즐길 수 있는 음료였다.
 
모하메드 유소프 압둘 라만은 "매장에서 판매하는 음식이 할랄이긴 하지만, 부적절한 이름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Jakim)가 제시한 권고안은 Auntie Anne's Malaysia의 임원이  페이스북에 소식을 게시한 후 말레이시아 소셜 미디어에서 바이러스처럼 퍼지고 있다.
 
무슬림들은 개를 불결하다고 여기고 알코올음료를 마시지 않지만, 말레이시아에서는 오랫동안 "핫도그"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고 루트비어 등  무알콜 음료를 마시며 즐겨왔다.
 
말레이시아인들은 명칭의 할랄(Halal)인가? 하람(Haram)인가? 혼란 중에도 여전히 거리에서 매장, 레스토랑에서 즐기고 있다. 명칭 개명 권고 판결은 말레이시아인들 사이에서 SNS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조롱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몰의 후드코드의 핫도그와 루트비어 매장!

말레이시아 관광문화부 장관 나즈리 아지즈(Nazri Aziz)는 이 권고 판결을 "어리석고 시대에 뒤떨어진"(stupid and backward) 것이라고 비판했다. 즉,

"핫도그는 핫도그일 뿐입니다.(Hot dog is hot dog lah) 말레이어에서도 핫도그라고 부르지요. 아주 오래전부터 써 온 용어로 저는 무슬림이지만 불쾌하지 않습니다."( I'm a Muslim and I'm not offended)

이만 유소프(Eeman Yusof)는 페이스북에 "명칭만 그럴 뿐인데, 그게 할랄인지 아닌지랑 무슨 상관이 있지요? 무슬림들은 재료와 음식 조리 방식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며 강조하고 있다.

어느 말레이시안은 페이스북 통해 "애완동물 가게에서 개 이름을 소시지로 바꿔주세요."라고 말하라며 비아냥거렸다.

말레이시아 이슬람 개발부(Jakim)에서 "핫도그" 등의 명칭은 할랄(Halal)이므로, 할랄 식품(Halal Food)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개칭하라는 권고는 다문화 사회에서 비아냥과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말레이시아 이슬람은 "온건한 무슬림 국가"(Moderate Muslim Nation)이며
다인종 다종교 다문화 사회로, 다른 종교에 대한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는 연방국가이다.

그러나 무슬림이 다수인 말레이시아 이슬람은 온건 이슬람(Moderate Islam)이 주도하고 실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말레이시아 정치사회는 말레이 무슬림(Malay Muslim)들의 보수화로, 할랄정책도 이슬람 교리와 신앙실천보다 이슬람주의(Islamism), 정치적 이슬람(Political Islam)으로 말레이 무슬림들의 정치적 결집을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 캔틴, 마켓 등 거리에서 시민들의 일상적 핫도그빵!

**************

*KLCC에서!-다인종, 다종교, 다문화 말레이시아!
*부활절 새벽 찬양!-동 말레이시아이시아
*2025년 새해 카운트다운!- KLCC에서!
*2025년 차이니스 뉴이어 데코레이션!-Pavilion KL.